호주에서의 현실과 한국에서의 현실 사이에 느껴지는 틈에 대해서
호주에서 발견한 Emergency exit 표지판을 시작으로 느껴진 환상에 가까운 호주 여행과 현실인 한국에서의 삶 사이에 채워지지 않는 틈에 대한 이야기
Sequel 버전으로 그 틈을 연결해주는 가상의 장치로 양자역학 연구에 사용되는 기계와 기계틈을 메꿔주는 사이 고리를 상징으로 사용했다
About the gap between reality in Australia and reality in Korea
Beginning with the emergency exit sign found in Australia, the story of an unfilled gap between a fantasy-like travel in Australia and life in Korea in reality.
It is a virtual device that connects the gap with the Sequel version, and uses the symbol used as a symbol between the machine used for quantum mechanics research and the gap filling the machine gap.
< Emergency Exit(Sequel Ver) > | 4’14” |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1트랙, 모노) | 2018
< Emergency Exit(Sequel Ver) > | 4’14” |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1Track, Mono) | 2018
I call it my way of saying 'Noise of Daily Life' in the unfamiliar moments that are felt in everyday life (not just unfamiliar moments, but it also implies things that you don't want to feel, maybe you should feel.)
on the car through the endless grasslands of Alice Springs, Suddenly, I found a 'Emergency exit' sign in the car. For a moment, I was struck by a fear of death and Soon after, the design of the information board caught my eyes. Regardless of the meaning, I focused on the beauty of the image itself and took pictures. Subsequently I imagined breaking the window. The thoughts of 'scary' and 'pretty' were overlapped and erased. For me, the information board played a role as the medium of thought, and at the same time, its role as the actual role of the emergency situation guide did not work properly. It was only one image.
In this work, 'Emergency exit' sign worked as 'Noise of daily life'. The complex emotions felt in the signs seemed to be a sort of sensory confusion, and at one point it also led to insensitivity. I used everyday images to amplify this situation. They used daily life collected in Australia and everyday life collected in Korea as medium of complex emotions and encouraged sensory confusion. These experiments led me to agonize whether I was not rejecting the senses I felt in these float senses, or whether I was bringing in another sensation as if there was an error in synapses. I felt like a layer covering my feelings on the uncomfortable feelings settled inside. I had a question about the essence of my thoughts and feelings in these thoughts. Is my feelings and thoughts true? And are are the thoughts and emotions that we feel are really true?
In addition, I think that the same theory applies when I look at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Korean emergency exit, which is not directly reflected in the image. Emergency exit are everywhere like customs. However, the green emergency exit signs serves as only an illumination to illuminate the emergency staircase. And it is rarely used in practice. Moreover, the emergency stairs are not used in an emergency, but are used as warehouses of businesses, secret azit of lovers, and homeless houses. In other words, the sign is just an LED light with green light. Likewise, the layers of desire laid over the Korean emergency exits seemed to build up above their actual role and maybe it can't have played its original role. I would like to deal with more about this in later work.
나는 일상에서 느껴지는 낯선 순간들(단순히 낯선 순간뿐만 아니라 어쩌면 보기 싫어도, 느끼기 싫어도 느껴지는 어쩌면 느껴야 하는 그러한 것들을 내포한다)을 '일상의 노이즈'라고 명명한다.
앨리스 스프링스의 끝없는 초원을 달리는 중 문득 차 안의 'Emergency exit' 안내판을 발견했다. 보는 잠시 동안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떠올랐다가 이내 안내판의 디자인이 눈에 들어왔다. 어떤 의미와 상관 없이 그 이미지 자체로의 아름다움에 집중하여 사진을 찍었다. 그러다 다시금 창문을 깨는 상상을 하기도 했다. 무섭다, 예쁘다 라는 생각은 겹치다가 소거되기도 하였다. 나에게 안내판은 생각의 매개로써 역할함과 동시에 실제 역할인 비상상황 지침서로써의 역할은 제대로 작용되지 않았다. 그것은 하나의 이미지에 불과했다.
이번 작업에서 '일상의 노이즈'로 'Emergency exit' 안내판이 작용하였다. 안내판에서 느껴지는 복합적인 감정들은 일종의 감각혼선에 가까웠고, 어느 순간에는 무감각에 이르기도 했다. 나는 이러한 상황을 증폭시키기 위해 일상의 이미지를 사용했다. 호주에서 수집한 일상과 한국에서 수집한 일상을 섞어 복합적 감정의 매개로 사용함과 동시에 감각혼선을 조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한편으로는 이와 같은 부유하는 감각들에서 느껴야 할 감각을 거부하고 있지는 않은지, 시냅스에 오류가 생긴 듯 다른 감각을 끌어들이고 있지는 않은지에 대해 고민하게 됐다. 내면에 침전된 불편한 감정들 위에 감정을 가리우는 레이어가 씌워진 듯한 느낌을 받았다. 나는 이러한 생각 속에서 생각과 감정의 본질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내가 지금 느끼는 생각과 감정은 진실일까? 그리고 우리가 느끼고 있는 지금의 그 생각과 감정은 정말 진실일까?
더하여 영상에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있지는 않지만, 한국 비상구의 사회적 현상을 봤을 때 동일한 이론이 적용된다고 생각했다. 비상구는 습관처럼 어디에나 있다. 그러나 초록빛 비상구 안내판은 비상계단을 비추는 하나의 조명으로써 작용할 뿐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더불어 비상계단은 비상 시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업소의 창고, 연인들의 비밀 아지트, 노숙자의 집 등으로 활용된다. 즉, 안내판은 그저 초록빛을 가진 LED 조명에 불과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비상구 위에 씌워진 어떠한 욕망의 레이어들은 실제역할보다 우위로 쌓이며 본 역할을 못하게 할지도 모른다고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