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임시적 영역간의 유기적인 긴장감을 표현하는 주황색 테이프
주황색 테이프로 규정된 공간은 어릴 적 짝꿍과 자리를 구분 짓던 모습 혹은 공사현장 등에서 임시로 칠해 놓은 임의의 사라질 수 있는 영역들이 생각나게 합니다. 이는 그어진 순간 효력을 발생하지만, 사리지는 순간 효력을 상실합니다. 유목민들이 초원을 유목하는 것처럼 이러한 공간은 일상의 여러 공간에서 유목하며 생성과 소멸을 반복합니다. 저는 이러한 공간을 작가의 시선으로 끄집어내어 보이지 않는 규정된 공간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했으며, 이를 통해 정착하지 않고 사리지지만, 매우 중요한 진리와 같은 사회 구조 혹은 현상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The space defined by the orange tape reminds us of the areas that are separated from childhood joke or the areas that can be temporarily dismissed temporarily on construction sites. This(The space defined by the orange tape) will take effect at the moment, but it will lose its momentary effect. Just as the nomads nomadic grasslands, these spaces are nomadic in many places of daily life and repeat their creation and destruction. I tried to draw this space into the artist's eyes and express the invisible defined spaces visually, expressing a social structure or phenomenon like a very important truth, though it does not settle down.
성수동에서 수집한 페인트칠로 만들어진 임시 경계
O.Territory_Line | Photograph | 가변설치 | 2016
O.Territory_Line | Photograph | 가변설치 | 2016
유기적 경계의 문(John 10:7-9) | 가변설치 | OPP 주황테이프, 문, 혼합재료 | 2016
유기적 경계의 문(John 10:7-9) | OPP 주황테이프, 문, 혼합재료 | 가변설치 | 2016
유기적 경계의 문(John 10:7-9) | OPP 주황테이프, 문, 혼합재료 | 가변설치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