漫想蒐集 涔想記錄
흩어질 만, 생각 상, 모을 수, 모을 집 | 괼 잠, 생각 상, 기록할 기, 기록할 록
" 흩어지는 생각을 모으고, 고이는 생각을 기록하다. "
(사라지는 공상줍기)
일상에서 쉽게 버려지거나 소모되어 버리는 생각들을 모아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낸 작업, 총 10여명의 사람의 버려진 생각을 모아 작가의 시선으로 재구성하여 만든 옴니버스식 영상이다
A work that creates a new story by collecting thoughts that are easily discarded or consumed in everyday life, and is an omnibus video created by collecting the thoughts of about 10 people and reconstructing them with the artist's eyes.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4’14” |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1트랙, 모노)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4’14” |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1Track, Mono)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가변설치 | 와인잔과 깨진 와인잔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Variable installation | A wine Glass and a broken wine glass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가변설치 | 와인잔과 깨진와인잔, 오렌지빛을 가진 오브제들, 말린멸치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Variable installation | Wine Glasses and broken wine glass, anchovy flowerpot, orange gel, ETC.(orange color set table)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Multi-exposure photograph | digital printing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Multi-exposure photograph | digital printing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Multi-exposure photograph | digital printing | 2018
< 漫 想 蒐 集 涔 想 記 錄 > | Multi-exposure photograph | digital printing | 2018
漫想蒐集 涔想記錄
" I gather scattered thoughts, and record stagnant thoughts. "
I collect, amplify and visualize the unfamiliar energy, which is usually felt in a thing or phenomenon easy to see in everyday life. These energies are referred to as ' everyday noise ' and are observed, collected, and tested for these noises. If previous work had collected the fragmented noises that would normally be felt in an abandoned object or in an unnoticeable space, this work has visualized the noise that is perceived by non-material thoughts that are not visually defined. Noise is also referred to as racket, atmospherics, but is also an intrusive sound of an ongoing sound. I felt this attribute comes from idle fantasies of thinking easy and forgetting things. Especially I felt this energy strongly when it was not in context. For example, either I think of a Hawaiian dancer heavy talking to someone , or there are situations like when I suddenly think of my elementary school memories in detail before I go to sleep. I collected these intrusive thoughts through my own and others. I collected about 15 people's scattered fantasies in a way like defragment the disk on a PC and I took out the thoughts that collected and extracted them, as if they were being restored from a waste basket of PC. I reinterpreted these thoughts with the artist's perspective and directed them.
[Video]
In the video work, each thought was cut out in the form of an omnibus and composed like a documentary film, and each fantasy(or daydream) was restructured according to the feeling that the artist felt.
[Installation]
In the installation work, I pulled out the glass from the video image into reality and Stereography it, and visualized the meaning of " Gather scattered thoughts, and record stagnant thoughts ". The tools used in the installation were randomly select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artist's imagination, and I recreated idle fantasies which is easily being discarded(like a neat set table)
[photograph]
In the photograph work, I was carried out using the camera's multI-exposure function, by collecting the associated frame(I felt) within walking distance of the first frame and then superimposing it three times. Pictures of scattered frames were overlaid to make the stagnant frame(collecting images as if it were collecting dragonflies) , Whereby new meaning was derived from it.
漫想蒐集 涔想記錄
흩어질 만, 생각 상, 모을 수, 모을 집 | 괼 잠, 생각 상, 기록할 기, 기록할 록
" 흩어지는 생각을 모으고, 고이는 생각을 기록하다. "
나는 주로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물, 혹은 어떠한 현상 등에서 느껴지는 낯선 에너지를 수집하여 증폭시키고 이를 시각화한다. 이 에너지를 '일상의 노이즈'라 명명하고 이 노이즈들에 대해 관찰 및 수집하고 실험한다. 기존 작업들에서는 주로 버려진 사물이나 시선에 띄지 않는 공간에서 느껴지는 파편적인 노이즈들을 수집하였다면, 이번 작업에서는 시각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비물질적인 생각에서 느껴지는 노이즈를 수집하여 이를 시각화하였다. 노이즈는 소음, 잡음이라고도 표현하지만, 어떠한 진행되는 음에서 끼어는 음이라고도 생각한다. 나는 이러한 속성을 일상에서 쉽게 생각하다가 잊어버리는 쓸모 없는 공상에서 느끼게 되었는데, 특히 맥락에 맞지 않는 공상들에게서 이러한 에너지를 강하게 느꼈다. 예를 들어 타인과 진지한 대화를 하는 도중 춤추는 하와이인이 생각난다거나, 자기 전에 갑자기 초등학교 때의 기억들이 상세하게 떠오를 때 등의 상황들이 있다. 나는 이러한 끼어드는 생각들을 나와 타인을 통해 수집하였다. 약 15명의 사람들의 흩어진 공상을 PC에서 디스크조각모음을 하는 듯한 방식으로 모으고, 모아진 생각들을 선별하여 마치 휴지통에서 버려진 파일들을 복구하듯 생각들을 끄집어내었다. 나는 이 꺼내어진 생각들을 작가의 시선으로 재해석하여 연출 및 구성하였다.
[Video]
영상 작업에서는 옴니버스 형식으로 각각의 생각들을 잘라 다큐멘터리영화같이 구성하였고, 각 공상마다 작가가 느껴지는 느낌대로 재구성하여 표현하였다.
[Installation]
설치 작업의 경우 영상에서 나오는 유리잔을 현실로 끄집어내어 입체화 시켰고, '만상수집, 잠상기록'이라는 의미를 시각화시켰다. 설치 작업에 쓰인 소품들은 임의로 선정되어서 작가의 상상으로 재구성 되었으며, 가볍게 버려지는 상상들을 정갈한 상차림을 한듯 구성하여 재현해내었다.
[photograph]
사진 작업은 카메라의 다중노출기능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는데, 첫 프레임을 촬영하고 걸을 수 있는 거리 내에서 이와 연계되는 느낌을 받는 프레임을 수집하여 총 3번의 중첩을 진행했다. 흩어져있는 여러 프레임의 사진들을 중첩시켜 이미지를 한 곳에 고이게 하고(마치 잠자리를 채집하듯 공간을 채집하여), 그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도출시켰다.